라이프팀 나눔 (5/4/25)
- May 14
- 2 min read
성경 암송 | 히브리서 10:24,25
서로 돌아보아 사랑과 선행을 격려하며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오직 권하여 그 날이 가까움을 볼수록 더욱 그리하자
성경 통독 |
5/12 (월) | 5/13 (화) | 5/14 (수) | 5/15 (목) | 5/16 (금) | 5/17 (토) | 5/18 (주) |
왕하 9-10, 시 127 | 왕하 11-13, 시 128 | 왕하 14-16, 시 129 | 왕하 17-18, 시 130 | 왕하 19-21, 시 131 | 왕하 22-23, 시 132 | 왕하 24-25, 시 133 |
설교 요약 | [기도하는 삶] 9 초기 그리스도인들: 공동체가 한마음으로 (행 4:23-31)
위기의 순간이 문제가 아니라 위기에 대한 반응이 중요합니다. 초대교회는 위기 앞에서 첫째, 혼자 어려움을 감당하지 않고, 믿음의 공동체에 알렸습니다. 교회는 서로의 연약함을 나누며 함께 짐을 지는 곳입니다. 개인주의와 신뢰 부족 속에서도, 신뢰 회복이 곧 기도 공동체의 회복입니다. 둘째, 한마음으로 모여 기도했습니다. 기도는 혼자가 아닌 하나님과, 공동체와 함께하는 적 행 위입니다. 예수님도 제자들과 함께 기도하셨고, 합심한 기도 위에 성령이 임하셨습니다. 셋째, 그들의 기도는 하나님의 성품을 찬양하고, 말씀에 근거하며, 사명을 위한 간구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들은 고난의 제거가 아닌 복음을 전할 담대함과 능력을 구했고, 하나님은 성령으로 응답하시 며 복음의 역사를 이루셨습니다. 오늘날 교회가 기도의 능력을 회복하지 못한 이유는, 하나님의 광보다 자신의 안위에 더 집중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저는 우리 교회가 한 마음으로 기도하는 공동체가 되어 하나님의 사명을 이루어가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나눔 질문
I. 이해를 돕는 질문
A. 사도들이 산헤드린 공회로부터 받은 명령은 무엇이었고, 그것은 어떤 의미를 가졌나요?
B. 베드로와 요한은 박해 이후 공동체에 돌아가 보인 반응 두가지는 무엇이었나요?
C. 초대교회 성도들의 기도에는 어떤 세 가지 특징이 있었나요?
II. 성찰을 유도하는 질문
A. 내가 신앙생활 중 어려움을 겪을 때, 주로 누구에게 알리고 어떻게 반응하는 편인가요?
B. 공동체에 자신의 연약함을 나누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질 때,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C. 나의 기도는 얼마나 하나님의 주권과 말씀, 사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나요?
III. 적용을 고민하는 질문
A. 지금 내가 겪고 있는 신앙적 어려움을 믿음의 공동체에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요?
B. 공동체 안에서 서로의 신뢰를 세우기 위해 내가 실천할 수 있는 한 가지는 무엇인가요?
C. 우리 소그룹이 함께 ‘한 마음으로 기도’할 수 있도록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