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팀 나눔 (10/12/25)
- Woori Church

- Oct 14
- 2 min read
성경 암송 | 베드로전서 5:7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
성경 통독 |
10/13 (월) | 10/14 (화) | 10/15 (수) | 10/16 (목) | 10/17 (금) | 10/18 (토) | 10/19 (주일) |
스가랴 13–14장, 시편 129편 | 말라기 1–2장, 시편 130편 | 말라기 3–4장, 시편 131편 | 마태복음 1–2장, 시편 132편 | 마태복음 3–4장, 시편 133편 | 마태복음 5–6장, 시편 134편 | 마태복음 7–8장, 시편 135편 |
설교 요약 | [하나님의 벗, 아브라함에게 배우다] 11 심판 | 멸하시다 (창 19:23-29)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이야기는 하나님의 죄에 대한 공의로운 심판과 동시에, 자비로운 구원 을 함께 보여줍니다. 롯은 처음에 소돔 근처에 장막을 쳤지만, 점점 죄악의 도시에 가까워지다가 결국 죄악의 도시의 중심부라 할 수 있는 성문에 앉는, 죄에 물든 삶을 살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롯은 타락한 가치관 속에서 딸을 희생시키려는 위선적인 모습까지 드러내며 심판의 날을 맞이합 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롯을 구원하십니다. 그것은 롯의 의로움 때문이 아니 라, 아브라함의 간절한 중보기도를 기억하신 하나님의 자비 때문이었습니다. 인간의 어떠한 자 격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비로 말미암은 전적인 구원임을 증거하는 것이죠.
하나님은 오늘 본문의 말씀을 통해 우리에게도 죄의 자리에서 도망치라고 반복해서 경고하 시며, 우리가 심판의 날을 맞기 전에 피난처이신 예수께 돌아오기를 말씀합니다. 구원은 우리의 자격으로 말미암은 것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보신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 은혜의 역사임을 기 억하며, 이제는 세상을 뒤로하고 하나님께 삶을 돌이켜야 합니다. 심판은 반드시 임하지만, 그 심판 가운데서도 피할 길을 열어주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 모두에게 있기를 기도합니다.
I. 이해를 돕는 질문
A. 롯이 소돔 성문에 앉아 있었다는 표현은 어떤 의미를 지니나요?
B. 소돔 사람들의 죄악은 어떤 모습으로 드러났으며, 그들의 반응은 어떠했나요?
C. 하나님께서 롯을 구원하신 이유는 무엇이며, 본문에서 어떻게 설명되나요?
II. 성찰을 유도하는 질문
A. 나는 최근에 하나님보다 ‘내 눈에 좋아 보이는 것’을 더 따라간 적은 없었나요?
B. 내 말과 행동 속에서, 다른 사람들이 하나님을 볼 수 있었을까요?
C. 나는 죄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가, 아니면 무감각해져 있나요?
III.적용을 고민하는 질문
A. 이번 한 주간, ‘죄의 자리’에서 도망쳐야 할 구체적인 영역이 있다면 어디인가요?
B. 내 주변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진리를 말할 기회가 있을 때,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요?
C.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생각하사 롯이 심판을 피할 수 있었던 것처럼,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생각하 사 우리가 죄의 심판을 피할 수 있게된 것처럼, 그들이 하나님의 자비를 얻어 심판을 피할 수 있도 록 내가 오늘 간절하게 기도해야할 사람은 누구인가요?
Comments